2016년 8월 1일 월요일

고우리_경기창작센터

고우리
_경기창작센터

표류하는 시간_Oil on canvas_270x900cm_2015





표류하는 시간(작업과정기록물)_Pigment Print_50x40cm_2015


 우리는 각각 다른 사람이 만나 관계를 짓는 필연적인 삶을 살고 있다. 하지만 나에게 타인은 불편한 대상으로 다가온다. 타인에 대한 불편함은 불안, 공포, 스트레스로 번지는데, 관계 속 다양한 감정들은 해결되지 못하고 지나간다. 그래서 감정의 해결점을 찾기 위해 작업한다. 감정에 대한 고민을 하다보면 일상에서 느껴지는(보여 지는) 것들이 관계에서 오는 감정과 오버랩 되는 순간들이 있다. (예를 들어 양파를 까보면 속이 계속 나오는 것을 보며 어떤 것이 진짜 양파의 모습인지 의구심이 들었다. 이처럼 인간관계에서도 상대의 모습이 계속 변화하는 것을 보면서 어떤 것이 진짜인지 확인 할 수 없어 회의감이 들었다.) 그것이 표면에 대한 고찰이 될 수 있고, 본질에 대한 고민일 때도 있다. 그런 순간을 신체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다.


 Each one of us Meets “different others” and forms relationships, an inevitable aspect of life. But to me, others are an object of discomfort. That discomfort of others expands to anxiety, fear and stress, and such feelings within a relationship pass by without being resolved. So I Work to look for ways of resolving my emotions. When I agonize over my emotions, there are moments when things that are visible in daily life overlap with the emotions derived from relationships. (For example, while peeling the skins off a onion and seeing how its core keeps on coming out, I wondered what the real image of an onion was. Similarly, in human relationships, I could see how a person keeps on changing and had feelings of doubt and uncertainty about that person.) It could be a superficial investigation or a worry about essence. I tried to express such moments through a body.


gowole24@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